숏 스퀴즈와 숏 커버링 : 뜻, 원리, 보는 법, 사례

숏 스퀴즈(Short Squeeze)는 특정 주식이나 자산을 공매도한 투자자들이 급하게 환매하는 숏 커버링(Short Covering)에 의해 가격이 급등하는 시장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연쇄적인 매수와 주식 가치의 급격한 상승으로 이어져 공매도자들에게 상당한 손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숏 스퀴즈와 숏 커버링의 뜻과 원리를 알아보고 보는 법과 주목할 만한 사례를 살펴봅니다.

숏 스퀴즈 숏 커버링 뜻 원리 보는 법 사례

숏 스퀴즈와 숏 커버링의 뜻

  • 공매도와 숏(Short)은 동일한 표현입니다.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가진 투자자들이 주식을 투자 은행 같은 중개인에게 빌려서 시장에 파는 거래 방식을 말합니다. 이후 더 낮은 가격에 주식을 다시 매수하고 중개인에게 반환하여 차익을 얻는 것이 목표입니다. 공매도는 투자자들에게 가격 하락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더 다양한 거래 전략을 가능하게 합니다.
  • 숏 커버링(Short Covering)은 공매도한 주식을 다시 매수하는 것을 말합니다.
  • 숏 스퀴즈(Short Squeeze)는 공매도자들이 예상치 못한 가격 상승에 의해 그 포지션을 유지할 수 없는 상황에 몰리게 되었을 때, 손실을 제한하기 위해 다급하게 숏 커버링을 함으로써 급등을 유발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합니다. 스퀴즈(Squeeze)는 쥐어짜다는 의미인데 이러한 역학을 잘 표현한 용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원인

  • 미결제 공매도(Short Interest): 미결제 공매도는 반환되지 않은 공매도의 양을 말합니다. 미결제 공매도가 많은 상태에서 주식을 둘러싼 일련의 호재들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상승이 지속되면, 높은 강도의 숏 스퀴즈가 발생할 확률이 높습니다.
  • 유동성 및 수급 불균형: 시장의 거래량이 부족할 경우에는 차입할 수 있는 주식의 수도 충분하지 않습니다. 즉, 추가적으로 주식을 빌려서 매도세를 만들기 힘들어집니다. 동시에 호가가 얇아지기 때문에 호재 발생 시 적은 거래량으로도 큰 폭으로 상승하게 됩니다. 게다가 숏 커버를 시도할 때도 수급 불균형으로 인해 주가를 더욱 빠르게 끌어올리는데 기여하게 됩니다.
  • 연쇄 발생과 집단행동: 누군가의 첫 번째 숏 스퀴즈로 주가가 급등하면 손실 누적액이 아슬아슬하던 공매도자들도 연달아 항복하고 숏 커버를 하게 됩니다. 연속적인 급등은 FOMO에 근거한 매수세까지 끌어들이게 되며, 어느 순간에는 여유 있던 공매도자들의 포지션조차도 위협하게 됩니다.


보는 법

  • 숏 스퀴즈를 정확하게 포착하는 법은 따로 없습니다. 다만 특정 종목이나 시장의 공매도, 또는 숏 포지션이 역대급이라는 말을 종종 들어보셨을 겁니다. 그런 종목과 시장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면, 폭발적인 급등이 발생하는 것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이후에 집계된 공매도 미결제 포지션이 줄었다면 숏 스퀴즈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즉, 방법이 있다면 공매도 미결제를 추적, 관찰하는 것뿐입니다.
  • 국내 각 증권사의 HTSMTS에서 공매도 순위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들을 제공합니다.
  • 미국도 Webull 같은 어플에서 각 종목의 AnalysisShort Interest 항목을 보면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들도 있습니다.


사례

  • 게임스톱(GameStop) 사례: 가장 두드러진 예 중 하나는 2021년 초에 게임스톱에서 발생했습니다. 코로나가 심각하던 시기, 고전하고 있던 비디오 게임 소매업체인 게임스톱은 Reddit의 WallStreetBets와 같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조직된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로 인해 주가가 크게 상승했습니다. 이에 대규모 공매도를 한 헤지펀드들은 상당한 손실을 입었고, 숏 커버링에 의한 숏 스퀴즈 현상이 연속적으로 발생했습니다.
  • 19년도부터 마이클 버리를 필두로 한 테슬라 공매도는 매우 유명했고, 23년 초에는 엔비디아, 에코프로 등의 종목들에 막대한 공매도 미결제가 누적되었습니다. 그로 인한 숏 스퀴즈로 추측되는 현상들을 당시 차트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무엇보다 모든 하락장은 반등 시 비관론에 매몰된, 시장 전체에 대한 수많은 공매도 미결제를 동반합니다. 하락장이 끝나고 새로운 강세장이 시작될 때는 필연적으로 숏 스퀴즈 현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5~16년도의 S&P500 지수와 미결제 공매도
05~16년도의 S&P500 지수(파란색)와 미결제 공매도(흰색)


결론

여기까지 숏 스퀴즈와 숏 커버링의 뜻, 원리, 보는 법 등 여러 가지 정보를 알아보았습니다. 글을 읽으셨다면 느끼셨겠지만 숏 스퀴즈는 숏이 불리하게 작용하는 메커니즘 중에 하나이기도 합니다. 기본적으로 숏은 ‘빌려야만’ 할 수 있는 개념이고, 방향이 틀리면 더 조급합을 느낄 수밖에 없습니다. 언젠가부터 개인투자자들도 인버스 ETF를 통해 숏 포지션을 가져가는 경우가 흔해졌는데, ETF라 해도 숏은 1배수부터 차입 개념이 들어갑니다. 나스닥 1배수인 QQQ의 운용 보수가 0.2% 임에 반해 -1배수인 PSQ는 0.95%에 달하는 것이 그 이유입니다.

최소한 시장에 공매도 미결제가 많이 쌓여있다는 말이 들릴 때는 숏 포지션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누적된 공매도 미결제는 빅 머니들에게 노려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숏을 아예 쳐다도 보지 말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저 또한 요즘 미국 시장의 피로도를 느끼고, 이 글을 쓰는 시점이 하락장의 시작일수도 있습니다. 다만 투자자들이 이 글을 통해 숏 포지션의 리스크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너무 많이 올랐네’ 정도의 가벼운 생각으로 쉽게 접근하지 않길 바랄 뿐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